Text
고영의 작업은 이미지의 파편을 수집하는데서 출발한다. 그 수집 방식은 파레이돌리아 (Pareidolia), 즉 무의식적인 연상 작용에 기반한다. 일상의 풍경 속에서 불쑥 떠오른 형상들 구름, 얼룩, 흔적 등 그 비정형의 이미지들에서 의미를 감지하는 순간, 작가는 그것을 새로운 장면의 단서로 받아들인다. 포착된 이미지의 조각들은 단순한 모양이나 유사성에 그치지 않고, 하나의 배역으로 구조화된다. 고영은 이 조각들을 인물, 상징, 장면으로 번역하며, 각각의 배역은 서로 관계를맺고 충돌하며 새로운 시나리오를 형성한다. 그것은 신화이자 설화, 혹은 아직 완결되지 않은 이야기의 한 장면이 된다. 그의 회화는 단일한 중심이나 서사를 제시하지 않는다. 오히려 유동적인 배역들과 느슨한 연결 속에서, 새로운 무대를 구성해간다. 그렇게 조율된 장면들은 각각의 역할을 부여받은 파편들로 이루어지며, 고정된 의미를 벗어난 또 하나의 신화를 조용히 품는다.
Goyoung’s work begins with the collection of image fragments. This process is grounded in pareidolia the unconscious tendency to perceive meaning in amorphous shapes, such as clouds, stains, or traces encountered in everyday life. When a fleeting form emerges from the landscape, she accepts it as a clue to a new scene. These captured fragments are not simply defined by shape or resemblance; rather, they are structured into roles. Goyoung translates them into figures, symbols, and scenes, allowing each part to collide, connect, and weave together a new scenario. It may resemble a myth, a folktale, or a moment from an unfinished story. Goyoung paintings do not present a singular center or linear narrative. Instead, they unfold a stage of fluid roles and loose associations. In this orchestration, each fragment is assigned a role, forming a scene that quietly embraces a myth beyond fixed meaning.
🗒️ Goyoung’s Statement
유랑하는 이야기들, 그리고 시간의 배역
고영에게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이야기들은 정처 없는 유랑이다. 쌓이고 덧붙여지며 때로는 모방되는 동화, 신화, 흐릿한 이미지, 심지어 수많은 가설이 내포된 이론들조차 고영에게는 새로운 시나리오를 위한 흥미로운 원천이 된다. 그는 이 서사적 조각들을 낱장의 이미지처럼 조율해, 단일한 중심 없이 다층적으로 흐르는 무대를 구성한다. 명확한 해석을 유보한 파편들은 서로 충돌하거나 은밀히 응답하며, 한 장의 종잇장이었던 이야기들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종잇장 더미로 확장된다. 고영은 해석의 여지가 많은 변형된 이야기들을 수집하고, 이들을 기반으로 시간의 조각을 꿰어 상상과 현실, 과거와 미래의 경계를 유영한다. 그렇게 하나의 장면이 또 다른 신화를 잉태하는 찰나를 포착한다.
작업은 이미지의 파편을 수집하는 데서 시작된다. 고영은 뚜렷한 형상보다는 이야기에서 밀려난 흐릿하고 불분명한 조각에 가까이 다가선다. 그는 의도적이라기보다는 연상적인 방식으로 이미지를 포착한다. 이를테면 하늘을 가로지르는 구름이 문득 강아지처럼 보이는 순간, 꾸겨진 낙엽이 손가락처럼 다가올 때, 아이스크림 자국이 옷의 주름을 떠올리게 하는 찰나. 이러한 감각의 비유는 고영에게 서사 밖에서 튕겨나온 파편들이 조용히 말을 건네는 순간이다. 이 연상은 단순한 시각적 유사성에 머무르지 않고, 감각과 기억의 무의식적인 결합을 통해 새로운 배역으로 전환된다. 고영은 그 조각들을 하나의 인물, 상징, 서사적 기능으로 번역해 장면을 구축하고, 이들은 하나의 시나리오가 되어 또 다른 무대를 형성한다. 그렇게 수집된 배역들은 본래의 의미를 벗어나 새로운 이야기 속 역할로 재탄생하고, 고정된 캐릭터가 아닌 유동적인 감각 속 존재로 장면을 채운다. 말과 촉각을 동시에 떠올리게 하는 이 조각들은 서로를 만나 관계를 맺고, 무대 위를 오가며 하나의 시나리오를 이룬다.
고영은 완결된 이야기를 제시하기보다, 여전히 구성 중인 이야기의 한 장면처럼 열려 있는 서사적 풍경을 제안한다. 그는 사진 한 장 속에서도 당시를 감싸던 공기의 냄새, 낯익은 음악 소리, 햇빛에 바랜 색의 잔향을 감지한다. 그러나 이 감각은 시간이 지나며 흐려지고, 타인의 기억이나 미래의 맥락이 덧입혀지며 또 다른 이미지로 다시 태어난다. 그렇게 되살아난 감각의 조각들은 하나의 설화처럼 자리를 잡는다. 결국 고영의 작업은 하나의 시점을 재현하려는 것이 아니라, 시간의 흐름 속에서 어긋나고 겹쳐진 감각과 이야기들을 새로운 무대로 조율해가는 과정이다. 작업 안에서 빈약했던 조각들은 다시 연결되고, 흐릿한 형상들은 각자의 옹골찬 배역을 얻는다. 그리고 그 조각들이 얽혀 새로운 이야기가 생성되는 바로 그 순간, 고영의 작업은 조용히, 그러나 단단하게 완성된다.
Wandering Narratives and the Roles of Time
To Goyoung, all stories that exist in the world are in a state of perpetual wandering. Fairy tales, myths, blurred images, and even speculative theories layered, repeated, or imitated become fertile sources for new scenarios. Goyoung orchestrates these narrative fragments like single sheets of images, composing stages that flow without a fixed center. The fragments, withholding clear interpretation, clash and resonate in silence, gradually transforming from a solitary page into a layered stack as time passes. She collects these transformed tales, threading together shards of time to drift across the boundaries of imagination and reality, past and future. In that passage, a single moment gives birth to a new myth.
Goyoung work begins with the collection of image fragments. Rather than seeking defined shapes, she gravitates toward blurred, discarded remnants those cast off from conventional narratives. She captures images not through deliberate design, but through associative perception. A cloud suddenly resembling a puppy, a crumpled leaf evoking a finger, or a smudge of ice cream conjuring the fold of fabric these sensory metaphors become moments when narrative fragments quietly speak to her from beyond the storyline. Such associations are not confined to visual similarity. They become roles, transformed through the unconscious interweaving of sensation and memory. Goyoung translates each fragment into a figure, a symbol, or a narrative function, assembling scenes where these roles form an entirely new stage. Freed from their original meanings, the characters are reborn into new roles, inhabiting scenes not as fixed identities but as fluid presences. These fragments, simultaneously evoking speech and touch, encounter one another, build relationships, and traverse the stage to form a new scenario.
Rather than presenting a complete story, Goyoung offers a narrative landscape that remains open—like a single frame within a work still in progress. Even within a single photograph, she senses the scent of the air that once surrounded the moment, the echo of familiar music, the trace of faded sunlight. Yet those sensations blur with time, overlaid by someone else’s memory or recontextualized by an unknown future. Reawakened, these fragments settle like folktales quietly, yet firmly, taking root. Her work is not about recreating a single point in time, but about composing a new stage from overlapping, misaligned sensations and stories within the flow of time. Fragmented remnants are reconnected; vague forms are assigned distinct roles. And at the very moment these fragments intertwine to generate a new narrative, Goyoung’s work quietly, yet resolutely, reaches completion.
🗒️ Critical Article
text. HAN MUNHEE handoorhi@gmail.com @minimanimunimo
https://www.instagram.com/minimanimunimo/
2025 미술사학과 비평 ✕ 서양화과 오픈 스튜디오 교류 프로젝트
출처 미상의, 픽션
극도로 고화소인 카메라가 탑재된 핸드폰으로 사진을 찍고, 손쉽게 필터를 적용해 저마다의 ‘이미지’를 만들어 낸다. 생성된 이미지는 현실의 일부이지만 그것과 정확하게 짝을 이루지는 못한다. 어떤 순간을 포착해 편집한 형태로 제 안에서, 무언의 세계를 구축해 내기 때문이다. 특히 고영에게 이미지는 한없이 유동적인 대상에 다 름 아니다. 유리컵에 담긴 아이스크림을 찍은 사진에서 가장 밝은 부분만 남겨 파편으로 떼어내거나, 옷의 주 름에서 형태를 읽어내는 등의 이미지 조각은 작가의 리포지터리(repository)에 산재해 있다. 각각의 이미지 조 각은 서로의 의미에 기대어 새로운 화면에서 다른 기호를 입고 다시 배치된다. 설사 같은 이미지라 할지라도 어디에 포개져 있느냐에 따라 해석은 상이해지는데, 이는 각 요소의 조응뿐 아니라 화면 외부에 있는 관객에게 까지도 영향을 미친다.
말하자면 캔버스에 그려진 각각의 기호는 아주 자의적이지만, 동시에 납득할만하다. <lira and an arrowhead>(2025)는 그리스 신화 속 태양의 신 아폴론의 상징물을 제목으로 삼고 있다. 무성한 나뭇잎을 축으로 두고 맞붙은 캔버스는 구도상 <Apollo and Daphne>(c.1470-80)의 일면을 떠올릴 법 하지만, 매끄럽게 연상되지는 않는다.1) 작가는 리라와 화살통이라는 작은 힌트를 던지며 보는 이에게 묻는 것이다, 이 힌트를 받아 들일 것인지, 혹은 말 것인지. 나아가 그걸 어떻게 캔버스의 추상적인 요소들과 연결해 자신의 기호 코드로 전환시킬 것인지 말이다.2) 여기에는 보는 이의 직관이 발동하지만, 그 무엇도 틀리진 않는다. 캔버스는 분명 수 많은 이야기에 빚진 채 구성되어 있으면서도 그 출처를 발견하기는 어려운 미상의 단서와, 도달할 수 없는 과거의 시간대에서 오려온 사진 조각이 만나는 픽션(Fiction)이 된다.
고영의 작업이 수수께끼처럼 느껴지는 지점은 바로 여기에 있다. 작가는 어떤 신화나 구전을 가져와 특정 장 면을 재현하려 하지만, 그 안에 구체적인 형상은 거의 없다. <A pause between wings>(2025)의 경우, 화면을 가로지르는 세로선이나 성모 마리아를 상징하는 푸른색, 그 위로 빛이 쏟아지는 듯한 효과는 ‘수태고지’의 문법과 닮아 있다. 또한 <No one saw her face: Stone Gaze>(2025)는 구도와 제목에서 그리스 신화의 메두사와 연결된다. 다만 작가는 그 무엇도 선명하게 말해주진 않는다. 아웃라인이 명확한 형태와 무언가를 암시하는 것 같은 제목은 우리에게 그와 닮은 무언가를 상상하게 하는데, 그것이 결국 추상이기 때문에 해석 가능한 경우의 수는 거의 무한하게 증식한다. 이야기는 주어졌으나 이미지의 출처는 잠겨 있다. 여기서 필연적인 오해가 발생 한다.
그러나 창작물의 감상에 오역은 늘 있던 일이며 그 무엇도 완벽하게 전달되진 않는 법이다. 외려 오독으로 하여금 이미지는 여러 개의 해석을 끌어안고 동시다발적으로 존재할 가능성을 갖게 된다. 편집된 이미지 파편에 서 시작해, 서로 배치됨으로써 새로 의미를 생성하는 고영의 캔버스는 그 자체로 작가와 관람객의 관계를 표상 한다. 저마다의 세계를 가진 개인들은 캔버스에 펼쳐진 추상적인 요소를 각자의 기호(sign)로 파악한다. 어떤 기호는 맞물리고, 어떤 기호는 완전히 어긋남으로써 두 개인은 만났다가 헤어지기를 반복한다. 그리고 그 교차 를 만들어내는 존재로 캔버스는 일종의 중력을 만들며 그 앞에 선 사람들의 세계를 끌어당긴다. 리포지터리에 홀로 둥둥 떠 있던 것들은 내러티브를 가진 픽션으로 탈바꿈했다가, 이내 어떤 세계들을 끌어당기며, 비로소 실재하게 되는 것이다.
1) 고영은 해당 작품의 레퍼런스(Piero del Pollaiuolo, Apollo and Daphne, c.1470-1480, 29.5x20cm, courtesy of National Gallery)를 인터뷰에서 밝힌 바 있지만, 그에 국한시키지는 않았다. 2025년 4월 11일 인터뷰.
2) 마르쿠스 가브리엘, 『허구의 철학』, 전대호 역 (열린책들, 2024), 104.
2025 Art History × Painting Open Studio Exchange Project
Source Unknown, Fiction
With ultra-high-resolution cameras embedded in smartphones, we can now take photographs and easily apply filters to produce personalized “images.” These generated visuals may be fragments of reality, yet they never quite align with it. Capturing and editing a moment, they construct a mute world of their own. For Goyoung in particular, the image is never static—it remains endlessly fluid. From a photograph of ice cream in a glass cup, the artist isolates only the brightest part, rendering it into a fragment; from the wrinkles of clothing, they extract form. These image fragments are scattered across the artist’s personal repository. Each fragment leans on the meaning of another, donning new signs and being rearranged on fresh surfaces. Even the same image can yield different readings depending on its position, as interpretation hinges not only on the interplay of internal elements but also on the perspective of the viewer beyond the canvas.
In this sense, the symbols painted on Goyoung’s canvas are highly subjective, yet somehow coherent. <Lira and an Arrowhead> (2025) draws its title from the emblems of Apollo, the sun god in Greek mythology. The canvas, joined at its center with lush leaves as an axis, faintly echoes Piero del Pollaiuolo’s <Apollo and Daphne> (c.1470–80), though the connection is never seamless.¹ The artist drops subtle hints—“lira” and “arrowhead”—and asks the viewer: Will you take them up? Or not? And if so, how will you translate them into your own semiotic code, connecting them to the abstract elements on the canvas? Here, the viewer’s intuition comes into play—but no reading is ever wrong. The canvas, indebted to countless stories, becomes a fiction born from unidentified traces and photo fragments extracted from unreachable moments in time. Though meticulously constructed, the source remains elusive.
The enigmatic quality of Goyoung’s work lies precisely in this. The artist draws from myths and oral traditions, aiming to re-stage certain scenes, yet clear figures are rarely present. In <A Pause Between Wings> (2025), vertical lines cutting across the surface, Marian blue, and a cascading effect of light resemble the visual grammar of an Annunciation. <No One Saw Her Face: Stone Gaze> (2025), in composition and title, recalls the myth of Medusa. Still, nothing is spelled out. The defined silhouettes and allusive titles push us to imagine something familiar, but because the result is abstraction, the number of possible interpretations multiplies infinitely. The story is offered, yet the image’s source remains locked. And it is from this that inevitable misreadings emerge.
Yet mistranslation has always accompanied the reception of art. No message is ever delivered perfectly. Rather, it is through misreading that images can hold multiple interpretations simultaneously. Beginning with edited image-fragments and progressing through their relational positioning, Goyoung’s canvas itself embodies the relationship between artist and viewer. Each individual, possessing their own world, reads the abstract elements of the painting as personal signs. Some signs align; others miss completely. In this repetition of meeting and parting, the two individuals—artist and viewer—intersect and drift apart. The canvas becomes a gravitational field that draws these worlds into orbit. The floating fragments, once adrift in the artist’s repository, transform into fictions with narrative weight. In doing so, they attain a new reality—anchored by the very act of attracting multiple other worlds.
¹ Goyoung acknowledged Apollo and Daphne (c.1470–1480, 29.5 x 20 cm, Piero del Pollaiuolo, National Gallery) as a reference in an interview conducted on April 11, 2025, but did not limit interpretation to this alone.
² Markus Gabriel, The Philosophy of Fiction, trans. Daeho Jeon (Open Books, 2024), p.104.